종교2013. 12. 18. 23:57

1. 초기불교의 주요 개념


1) 사성제 

- 고(苦) : 모든 고통을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으로 자기 자신이 초래한 고통을 말한다. 

- 집(集) : 고통의 원인으로 욕망에서 비롯된다.

- 멸(滅) : 집착이 끊어진 상태 또는 고통이 없는 상태 

- 도(道) : 열반을 향해 가는 길


2) 팔정도 

- 정견(正見) : 바르게 본다는 것은 지적인 이해를 매우 중요시 함을 알 수 있다. 

- 정사유(正思惟) : 올바른 생각을 하는 것

- 정어(正語) : 올바르게 말하는 것

- 정업(正業) : 올바른 행동을 하는 것, 5계[각주:1]를 지키는 것이다.

- 정명(正命) : 바른 직업을 갖는 것이다. 

- 정정진(正精進) : 바르게 정진하는 것이다. 

- 정념(正念) : 자신이 하는 행동에 대해 깨어있음을 뜻한다. 비파사나, Samyak smrti

- 정정(正定) : 집중하는 것, 삼매(samadhi)에 드는 것을 말한다. 


3) 삼법인

- 일체개고, 一切皆苦 : 모든 집착이 바로 고통이다. 

- 제행무상, 諸行無常 : 모든 것은 오고 간다. 하나하나 순간을 이해하고 변한다는 것을 깨닫는 것을 말한다. 

- 제법무아, 諸法無我 : 이러한 모든 고와 집의 가운데에는 자신이 자리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. 


4) 연기법 

"나의 감정들은 모두 연결되어 있고,

 나와 타인의 모든 관계도 연결되어 있으며, 

그 속에 있는 인과 또한 연결되어 있어 결과를 낳는다."



2. 불교사상의 발전


1) 근본불교(원시불교, 초기불교)

- 대표적 경전 : 아함경


2) 부파불교(Abhidharma Buddhism)

- 대승불교 또한 부파불교 중에 하나였다는 것이 학자들의 정설이다. 

- 기원전 1세기에 대승불교가 나타났다고 하는데, 사실상 간다라 지방의 서방에서의 영향(신적 존재에 관한 사상의 유입)으로 엘리트 스님들의 저술에서 드러나고 있음

- 이 당시에는 ~론파와 같은 철학적인 서적이 많이 나타난다. 


3) 대승불교(Maha yana Buddhism)

- 대승불교가 완성된 것은 기원 후 5세기 경이다. 대승이란 큰 수레란 뜻으로 많은 사람들을 구원하는 수레라는 뜻이다. 

- 대승불교는 중앙아시아-중국-한국으로 전파가 되었다. 


4) 대승불교의 성립

- 엘리트층의 스님들이 주도했음

- 반야경, 법화경, 화엄경, 열반경, 유마경 등의 주요 경전임

- 반야경은 여러가지 버전이 있는데, 금강경도 금강반야바라밀다경의 축어이다. 금강경의 경우, 선불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. 

- 대승불교는 경전의 성립에 의해 생겨났다. 

- 보살(Bodhisattva)[각주:2] ↔ 아라한

- 불성(佛性) 사상이 등장한다. 깨달음에 대한 적극적 주장이며 보편화를 할 수 있음을 뜻한다. 

- 육바라밀(보시,지계,인욕,정진,선정,지혜 바라밀) 사상

- 자비와 공동체, 불상 숭배, 부처의 법신 사상 등이 나타난다. 

- 인도에서 발원하였지만 동아시아에서 정립되고 꽃피우게 되었다. 

- 신앙에서 이타적인 면을 중시함으로서 종교적인 측면이 보완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. 



3. 대승불교의 발전


"소승불교를 부를 때 작은 수레라고 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. 그러나 명목상으로 대승과 소승을 나눌 필요는 있다.


1) 소승불교[각주:3]와 대승불교

- 소승불교는 초기 불교경전과 부파불교 경전을 중심으로 하며, 대승불교의 경우에는 화엄경과 같은 대승 경전을 중심으로 한다. 대승불교의 경전은 기원전 1세기 경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. 


2) 불교 사상의 발전

- 중관 : 불교 역사상 가장 뛰어난 사상가인 용수(Nagarjuna) 스님에 의해서 쓰여진 '중론'을 바탕으로 한다.

- 유식 : 무착(asanga), 세친(nasubandhu)의 구사론이 부파불교의 정수이다. 

- 여래장 : 모든 존재는 여래의 '장'이 있다. 즉, 불성을 가지고 있다. 그러나 초기불교에서는 불성과 같은 개념은 없었다.[각주:4]


※ 중론

- 공(空)[각주:5]이란 없는 것이 아니라 실체가 없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념이다. 이 책을 통해 18가지 관념에 대해 우리가 실재한다고 생각하나 그렇지 않음을 논한다.


 유식(conscious only, Vijnapt matra) : 의식하는 것만이 있다. 

- 이 세상은 내가 인식하기 전에는 존재하지 않는다. 종교적 함축이며 세상은 인식으로 이루어졌음을 깨달아 집착을 버린다. 


3) 대승불교의 경전


① 반야경 

-그 양이 방대해 읽기가 어렵다. 대품 반야경과 소품 반야경이 있다. 잘 알려진 금강반야바라밀경을 줄여 금강경이라고 한다. 

② 화엄경

③ 유마경 

- 유마거사를 중심으로 한 재미있는 이야기로 구성되었다. 13품으로 되어 있고, 제자 품이 잘 읽힌다. 

④ 열반경 

- 실유불성(모든 존재에겐 불성이 있다)라는 내용의 경전

⑤ 법화경 

- 일본에서 잘 읽히는 경전이다. 묘법연화경(Lotus sutra)의 준말이며, 진리는 일승이나 표현되는 것은 삼승으로 드러난다. 


중국 

소의경전 

주요인물 

시 기 

삼론종 

중관 

승조, 길장[각주:6] 

4세기경 

천태종 

법화경 

지의 법사 

6세기경 

법상종 

성유직론 

현장, 규기 

6~7세기경 

화엄종 

화엄경 

지엄(제2조) 

 "

선종 

 

보리달마(가상), 혜능(제6조) 

 "

정토종 

아미타경, 무량수경 

 

 "



[서울대학교 조은수 교수님의 불교철학 내용을 정리한 것임을 밝힙니다. 도용 및 복사를 불허합니다.]


  1. 살생하지 마라. 도둑질하지 마라. 사음하지 말라. 거짓말하지 말라. 술을 마시지 말라. 이 것이 오계이다. [본문으로]
  2. 여러 불보살들이 나타난다. 이마타불, 비로자나불, 지장보살 등 [본문으로]
  3. 소승불교(Hinayana Buddhism) 혹은 Theravada 불교라고 한다. 현재 불교종파의 분류로 본다면 남방불교가 올바른 명칭이다. 비파사나 수행(관, 觀)을 중심으로 하며, 구마라집(kumarajiva)이 많은 경전을 번역하였다. [본문으로]
  4. 색수상행식, 탐진치 등의 개념은 있다. [본문으로]
  5. 공(空)이란 무자성(無自性, inherent nature)한 것이다. [본문으로]
  6. 원효스님에게 큰 영향을 끼친 스님이다. 원효스님이 중요한 이유는 삼론종, 천태종, 법상종 모두에 걸쳐 있다. 길장, 지의, 현장과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. 의상대사는 지엄스님의 제자가 된다. [본문으로]
Posted by 청공(靑空)